전 국가기후환경회의 사무처장, 현 중앙대학교 대학원 기후경제학과 겸임교수 정복영 신간
이런 가운데 탄소중립의 의미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기후변화 위기를 경제, 기술, 사회제도 속에서 풀어 나갈 방법을 제시하는 『탄소중립개론』이 출간됐다.

정복영 전 국가기후환경회의 사무처장이자 현 중앙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기후경제학과 겸임교수가 저술한 이 책은 단순한 환경서를 넘어, 탄소중립을 경제, 과학, 정책, 기술, 산업, 사회, 디지털 등 다차원적으로 접근하여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개론서이다.
총 11장으로 구성된 『탄소중립개론』은 기후과학의 원리부터 시작하여 경제학적 분석, 국제 및 국내 정책 흐름, 탄소시장과 무역규제, 기업의 ESG 공시체계, 디지털 MRV 기술, 시민사회의 역할, 그리고 AI 기반 감축 전략에 이르기까지 방대한 영역을 아우른다.
저자는 이론과 실제, 규범과 과학, 정책과 기술의 경계를 넘나들며 독자들에게 실천적인 통찰을 제공하고자 했다.
저자는 대통령실, 국무조정실, 국가기후환경회의 등에서 탄소중립 고위 정책 결정 과정에 참여하며 기후·환경 거버넌스의 실질적 기틀 마련에 기여했다.
또한, 미국 캘리포니아 대기자원위원회(CARB), 세계은행 산하 지구환경기금(GEF), 주중 환경외교관으로 활동하며 글로벌 기후정책 및 개발 협력, 외교적 조율 경험을 두루 갖춘 전문가이다.
이러한 다채로운 실무 경험과 함께 중앙대학교 대학원에서 기후경제학을 강의하며 쌓아온 자료와 고민이 이 책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특히, AI 기반 디지털 MRV 및 탄소정보 분석 솔루션을 개발하는 기후환경 스타트업 ‘VerdeX AI’의 대표로서 기업과 정부, 지자체의 탄소중립 전략 수립에 힘쓰고 있는 저자의 경험은 책의 현장성을 더한다.
저자는 학생들이 탄소중립을 어떻게 가르치고 이해시킬 것인가에 대한 끊임없는 고민을 바탕으로 이 책을 집필했으며, 실제 강의와 현장 사례, 산업계와 행정 경험을 접목하여 교과서 이상의 깊이와 현장성을 담아냈다. 독자 스스로 사고하고 확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점 또한 이 책의 큰 특징이다.
『탄소중립개론』은 정책입안자, 기업 실무자, 연구자, 그리고 미래를 준비하는 학생 모두에게 권할 수 있는 책이다.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특정 분야만의 노력이 아닌, 과학적 이해와 정책, 산업, 사회 전반의 통합적 접근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저자는 이 책이 ‘세상을 바꾸는 일이 사람의 생각을 바꾸는 일에서 시작된다’는 믿음 아래, 탄소중립으로의 변화를 이끄는 작은 흔들림이 되기를 바란다고 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