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CBAM 연간보고서 2024, 00철강코리아(주) – 포스코 공급망
제1부: 관리 정보
보고서 식별정보
- 보고서 ID: KR-00STEEL-2024-001
- 보고 기간: 2024년 1월 1일 – 2024년 12월 31일
- 보고서 발행일: 2025년 1월 15일
- 보고 주체: 00철강코리아(주)
- 보고서 유형: 연간 공급업체 커뮤니케이션 보고서
- 보고서 상태: 최종
설비 정보
- 설비명: 00철강코리아 포항공장
- 설비 ID: KR-00STEEL-PH-001
- 소재지: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철강로 123
- 국가: 대한민국 (KR)
- 지리적 좌표: 북위 36.0190°, 동경 129.3435°
연락처 정보
- 주 담당자: 김철수 (환경관리자)
- 이메일: cbam@00steelkorea.co.kr
- 전화: 054-280-1234
- 부 담당자: 박영희 (지속가능성 이사)
- 이메일: sustainability@00steelkorea.co.kr
제2부: 생산 및 제품 정보
2.1 제품 분류
CN 코드 | 제품 설명 | 생산량 (톤) | 전체 비중 (%) |
7208 10 00 | 열연강판, 폭 600mm 이상, 추가 가공하지 않은 것 | 320,000 | 64.0% |
7209 16 90 | 냉연강판, 두께 1mm 초과 3mm 미만 | 180,000 | 36.0% |
합계 | CBAM 대상 제품 전체 | 500,000 | 100.0% |
2.2 생산 공정 및 제조 방법
주요 생산 방식: 전기로(EAF) – 2차 제강 생산
생산 공정 흐름:
- 고철 준비: 고철 분류, 파쇄, 자력 선별
- 전기로 용해: 전기 아크 기술을 이용한 고철 직접 용해
- 래들 정련: 정련 및 합금 조정
- 연속주조: 강편 생산
- 열간압연: 열연 제품(7208) 생산
- 냉간압연: 냉연 제품(7209) 추가 가공
- 마무리: 절단, 검사, 포장
시스템 경계:
- 시작점: 고철장 운영 및 원료 입고
- 종료점: 출하 준비 완료된 완제품
- 포함: 설비 내 모든 연료 연소, 전력 소비, 공정 배출
- 제외: 운송 배출, 고객사 하위 공정
제3부: 내재 배출량 데이터
3.1 직접 배출량 (Scope 1)
배출원별 배출량:
배출원 | 활동 데이터 | 배출계수 | 연간 배출량 (tCO2e) |
천연가스 (전기로) | 25,000,000 m³ | 0.00189 tCO2/m³ | 47,250 |
전극 소비 | 2,500 톤 | 3.04 tCO2/톤 | 7,600 |
석회 첨가 | 15,000 톤 | 0.785 tCO2/톤 | 11,775 |
경유 (이동장비) | 850,000 리터 | 0.00268 tCO2/리터 | 2,278 |
공정 배출 (합금 산화) | 500,000 톤 | 0.002 tCO2/톤 | 1,000 |
직접 배출량 합계 | 69,903 |
제품별 특정 직접 배출량:
- 열연 제품 (7208): 0.140 tCO2e/톤
- 냉연 제품 (7209): 0.140 tCO2e/톤
3.2 간접 배출량 (Scope 2)
전력 소비 및 배출량:
공정 | 전력 소비량 (MWh) | 계통 배출계수 (tCO2/MWh) | 배출량 (tCO2e) |
전기로 운전 | 420,000 | 0.459 | 192,780 |
압연기 | 380,000 | 0.459 | 174,420 |
보조 시설 | 150,000 | 0.459 | 68,850 |
합계 | 950,000 | 0.459 | 436,050 |
주: 한국 전력 계통 배출계수는 IEA 2023년 데이터 기반
제품별 특정 간접 배출량:
- 열연 제품 (7208): 0.872 tCO2e/톤
- 냉연 제품 (7209): 0.872 tCO2e/톤
3.3 전구체 원료
고철 투입 (CBAM 방법론에 따른 내재 배출량 0):
- 총 고철 소비량: 520,000 톤
- 고철 비율: 104% (수율 손실 포함)
- 조달처: 국내 70%, 수입 30%
- 내재 배출량: 0 tCO2e (2차 원료 면제)
합금 첨가물:
원료 | 수량 (톤) | 내재 배출량 (tCO2e/톤) | 합계 (tCO2e) |
페로망간 | 2,500 | 3.52 | 8,800 |
페로크롬 | 1,500 | 5.456 | 8,184 |
합계 | 4,000 | 16,984 |
3.4 총 내재 배출량 요약
배출 범주 | 열연 (7208) | 냉연 (7209) | 합계 |
생산량 (톤) | 320,000 | 180,000 | 500,000 |
직접 배출량 (tCO2e) | 44,738 | 25,165 | 69,903 |
간접 배출량 (tCO2e) | 279,104 | 156,946 | 436,050 |
전구체 배출량 (tCO2e) | 10,870 | 6,114 | 16,984 |
총 배출량 (tCO2e) | 334,712 | 188,225 | 522,937 |
제품당 내재 배출량 (tCO2e/톤) | 1.046 | 1.046 | 1.046 |
제4부: 탄소 가격 정보
4.1 지불된 탄소 가격
한국 K-ETS 참여:
- K-ETS 적용 범위: 부분 적용 (직접 배출량만)
- 할당 방식: 무상할당 95%, 경매 5%
- 평균 탄소 가격: 12,500원/tCO2e (8.75유로/tCO2e)
- 총 직접 배출량 적용: 69,903 tCO2e
- 구매 배출권: 3,495 tCO2e (5%)
- 총 탄소 비용: 30,581유로
4.2 환급 및 보상
- 에너지 집약적 무역 노출 (EITE) 지원: 15,000유로
- 친환경 기술 투자 세액공제: 25,000유로
- 실 탄소 가격 지불액: 0유로 (보상 후)
제5부: 모니터링 및 검증
5.1 모니터링 방법론
직접 배출량 모니터링:
- 방법: 계산 기반 접근법 (활동 데이터 × 배출계수)
- 천연가스: 월간 교정을 통한 연속 유량계
- 전력: 15분 간격 데이터 스마트 미터
- 원료: 모든 원료 투입에 대한 트럭스케일 시스템
품질 보증:
- ISO 14001:2015 환경경영시스템 인증
- 배출 데이터 월간 내부 감사
- 에너지 청구서와 분기별 교차 검증
- 연간 제3자 검증 (한국환경공단)
5.2 적용된 배출계수
항목 | 값 | 출처 |
천연가스 | 56.1 kgCO2/GJ | IPCC 2006 가이드라인 |
계통 전력 | 0.459 tCO2/MWh | 에너지공단 2023 |
전극 탄소 | 3.04 tCO2/톤 | IPCC 2019 개정 |
석회석 | 0.44 tCO2/톤 | 화학량론적 계산 |
5.3 데이터 품질 및 불확실성
- 전체 불확실성: ±3.5% (95% 신뢰구간)
- 주요 불확실성 요인:
- 천연가스 측정: ±1.5%
- 전력 계량: ±0.5%
- 원료 계량: ±2.0%
- 배출계수: ±2.5%
제6부: 준수 선언
6.1 방법론 준수
당사는 다음과 같이 선언합니다:
- 모든 배출량 계산은 EU CBAM 시행령 (EU) 2023/1773을 준수
- 기본값 미사용; 모든 데이터는 실제 모니터링 값 반영
- 시스템 경계는 철강 제품에 대한 부속서 II 사양 준수
- 정의된 경계 내 모든 관련 배출원 포함
6.2 데이터 정확성 진술
서명자는 다음과 같이 인증합니다:
- 제공된 모든 정보는 진실하고 정확하며 완전함
- 검증을 위한 지원 문서 보유
- 데이터 보존 정책으로 5년간 기록 보관 보장
- 중대한 변경사항은 30일 내 통보
승인 서명:
- 성명: 이상호
- 직책: 대표이사
- 날짜: 2025년 1월 15일
- 서명: [전자서명 적용]
제7부: 보충 정보
7.1 탈탄소화 이니셔티브
2024년 실행 조치:
- 전기로 최적화 프로젝트로 전력 소비 5% 감축
- 폐열 회수 시스템 설치
- 연간 100,000 MWh 재생에너지 PPA 체결 (2025년 시작)
- DRI 생산용 수소 파일럿 프로젝트 착수
계획된 투자 (2025-2030년):
- 친환경 수소 기반 제강 파일럿: 500억원
- 탄소포집 준비 인프라: 200억원
- 100% 재생전력 전환: 350억원
7.2 공급망 협업
- 50개 이상 공급업체 CBAM 준비 교육
- 자동화된 배출 데이터 수집 디지털 플랫폼
- 포스코와 저탄소 철강 개발 협력
- 국내 대학과 수소 야금 공동 R&D
7.3 추가 인증
- ISO 50001:2018 에너지경영시스템
- ResponsibleSteel™ 인증 (진행 중)
- SBTi 단기 목표 검증 (1.5°C 경로)
- CDP 기후변화 점수: B (2024년)
부록
부록 1: 생산 흐름도
[모든 배출 지점과 시스템 경계를 보여주는 상세 공정 흐름도]
부록 2: 월별 생산 및 배출 데이터
[생산량과 관련 배출량의 12개월 세부 내역]
부록 3: 제3자 검증 인증서
[LCA 기반 배출량 검증 보고서 요약 – 한국환경공단]
부록 4: 에너지 소비 세부사항
[공정별 및 연료 유형별 에너지 소비량 상세 분석]
부록 5: 계산 워크시트
[배출계수 적용을 보여주는 계산 샘플]
보고서 끝
본 보고서는 EU 수입업체에 대한 공급업체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EU CBAM 요구사항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문의사항이나 추가 정보가 필요하시면 CBAM 준수팀(bjung1024@naver.com)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